제21회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검정 시험 문제 오답
1교시
x
2교시
12. 기업에서 기존에 수행했던 데이터 분석 또는 BI와 비교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키워드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것은?
- Information, Ad hoc Report, Alerts, Clean Data
3교시
19. 확실하게 증명하고 싶은 가설, 뚜렷한 증거가 있어야 채택할 수 있는 가설은?
- 대립가설
20. 비모수검정 방법 중 하나로 표본들이 서로 관련디어 있는 경우 짝지어진 두 개의 관찰치들의 크고 작음을 표시하여 그 개수를 가지고 두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은?
- 부호 검정(sign test)
23. 한 변수를 단조 증가 함수로 변환하여 다른 변수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두 변수의 선형 관계의 크기 뿐만 아니라 비선형적인 관계도 나타낼 수 있는 상관계수는?
- 스피어만 상관계수
24. 분류 분석 모형 중 훈련용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미리 모형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료에 대한 예측 및 분류를 수행할 때 모형을 구성하는 lazt learning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 최근접 이웃(nearest eighbor) 모형
31. 군집화 기법 중 특정 공간에서 가까이 있는 데이터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하며 비교적 비어 있는 지역을 경계로 하는 군집 기법으로 임의적인 모양의 군집 탐색에 효과적인 기법은?
- 밀도 기반 군집 기법
34. 다음 군집 모형 중 군집의 개수를 미리 지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으로 탐색적 분석에 사용하는 모형은?
- 계층적 군집
단답형
04. 상향식 접근 방식의 발산단계와 도출된 옵션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하향식 접근 방식의 수렴단계를 반복하여 과제를 발굴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디자인 사고
06. 여러 대상 간의 거리가 주어져 있을 때, 대상들을 동일한 상대적 거리를 가진 실수 공간의 점들로 배치시키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 다차원 척도법
07. 계층적군집을 수행할 때 두 군집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 중 군집내의 오차제곱합에 기초하여 군집을 수행하는 방법은?
- 와드 연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