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14. 구국 운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의 전개

기업도시연구원 2023. 1. 31. 15:32

동학 농민 운동

1860년대 1870년대 1890년대 1894년
동학 창시(1960) 교세 확장 교조 신원 운동 고부 민란
- 최제우: 제1대 교주→혹세무민 죄로 사형
- 시천주 강조 
- 최시형: 제2대 교주
- 교세 확장: 사인여천 강조, 포접제, 동경대전·용담유사 유행
- 삼례 집회(1892)
- 서울 복합 상소
- 보은 집회(1893): 정치 운동으로 발전 
- (배경) 고부 군수 조병갑의학정(만석보 사건)
- (전개) 전봉준 등 사발통문 작성→고부 관아 점령→신임 군수 박원명, 안핵사 이용태 파견
- (결과)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전주 화약 체결 제2차 동학 농민 운동
(성격) 반봉건
(주도) 남접의 전봉준
(배경)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전개)
무장 봉기백산 봉기: 4대 강령, 백산격문(보국안민, 제폭구민) 발표
② 황토현 전투 승리
장성 황룡촌 전투 승리

④ 농민군의 전주성 점령
조선 정부의 청 파병 요청
⑥ by 텐진 조약: 청군(아산만), 일본군(인천) 상륙
전주 화약 체결
- 정부: 교정청 설치
- 농민: 집강소 설치, 폐정 개혁 12개조 제시

⑧ 조선 정부가 청·일 양국에 군대 철수 요구
일본의 경복궁 무력 점령
청·일 전쟁 발발, 제1차 갑오개혁 시행
⑪ 제2차 봉기(삼례): 남접+북접 연합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⑬ 전봉준 체포→동학 농민 운동 실패
⑭ 잔여 세력 활동: 활빈당 등

갑오·을미개혁의 추진

1894년 1895년 이후
제1차 갑오개혁 제2차 갑오개혁 청·일 전쟁 종식 친러 내각 수립  을미개혁
- 제1차 김홍집 내각+흥선 대원군
- 군국기무처 설치(총재: 김홍집)
- 제2차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
- 군국기무처 폐지 
시모노세키 조약→삼국 간섭(러·프·독)→랴오둥반도 반환 제3차 김홍집 내각→을미사변 - 제4차 김홍집 내각
- 아관파천으로 중단 
제1차 갑오개혁 제2차 감오개혁 을미개혁
- '개국' 연호 사용
- 경무청 설치
- 궁내부 설치(왕실 사무 분리)
- 6조→8아문
- 과거제 폐지
- 재정의 일원화: 탁지아문
- 은 본위 화폐 제도
- 도랴영 통일
- 조세의 금납화
- 신분제(공·사 노비제) 폐지
- 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 연좌제 폐지 
- 홍범 14조 반포
- 의정부 + 8아문 → 내각 + 7부
- 지방 8도 → 23부
- 재판소 설치(사법부 독립) 
- 육의전 폐지
- 훈련대, 시위대 설치
- 교육 입국 조서 반포한성 사범학교 설립, 소학교, 외국어 학교 등 여러 관제 발표 
- '건양' 연호 사용
- 중앙에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 설치
- 단발령 시행
- 태양력 채택
- 종두법 시행
- 우편 사무 재개
- 소학교 설치 

독립협회

창립 배경 

- 아관 파천으로 열강의 이권 침탈 가속화

- 서재필 주도로 독립신문 발간→독립 현회 창립 

활동 

초기 강연회와 토론회 개최 / 영은문→독립문, 모화관→독립관 / 고종 환궁 요구

말기 자주 국권 만민 공동회 개최 vs 열강의 이권 침탈: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자유 민권 언론·출판·집회·결사·신체의 자유 요구 자강 개혁 의회 설립 운동: 관민 공동회 개최→헌의 6조 채택→중추원 관제 반포(입헌 군주제에 입각한 의회 설립) 

해산 조병식 등 보수파의 익명서(독립 협회와 공화정 주장) → 황국 협회의 만민 공동회 습격


대한 제국과 광무개혁

대한 제국 수립(1897) 고종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궁→환구단(원구단)에서 황제 즉위식 거행→국호 '대한 제국', 연호 '광무'

광무개혁 구본신참의 원칙

정치 - 대한국 국제 선포
- 내장원 설치
- 한·청 통상 조약 체결
군사 원수부 설치
경제 - 양지아문 설치: 양전 사업 시행
- 지계아문 설치: 지계 발급
- 식산흥업 정책: 회사 설립
- 근대 시설 도입
교육 - 상공 학교, 기예 학교 등 실업 학교 설립
- 유학생 파견 

의의 자주적으로 추진한 근대화 개혁

한계 황제권 강화에 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