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24. 고도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와 통일 정책
기업도시연구원
2023. 2. 1. 18:42
현대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이승만 정부 | 박정희 정부 | ||
- 한·미 원조 협정 체결→원조 경제 - 삼백 산업(제분·제당·면방직): 소비재 산업 발달 - 귀속 재산 처리법 제정 |
1960년대 경공업 중심 - 베트남 파병, 서독 광부·간호사 파견→ 경제 개발 자본 획득 - 제1차·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도로·항만 등 사회 간접 자본 확충, 수출 위주의 경공업 발전에 주력 1970년대 중화학 공업 중심 - 경부 고속 국도 준공, 개통 - 제1차 석유 파동→중동 건설로 극복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제2차 석유 파동 → 경제 불황 심화 -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산업화·도시화→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 심화 → 새마을 운동: 농촌 근대화 - 전태일 분신 사건 - 8·3 조치 |
||
전두환 정부 | 김영삼 정부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 |
- 3저 호황: 저금리·저유가·저달러 - 최저 임금법 제정 |
- 금융 실명제 시행 -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 외환 위기 초래 |
- 외환 위기 극복: 기업 구조 조정, 노사정 위원회 설치 , 금 모으기 운동 - 2002 한·일 월드컵 개최 |
-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 개성 공단 완공: 남북한 경제 교류 |
통일을 위한 노력
장면 내각 | 박정희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남북 학생 회담 요구 집회 | - 남북 적십자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원칙)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 (특징)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 발표,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예술 공연단: 최초의 이산가족 고향 방문 | - 남북한 유엔(UN) 동시 가입 - 남북 기본 합의서 (배경) 제5차 고위급 회담의 결실 (내용)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 | 문재인 정부 | |
- 정주영 소떼 방북 - 금강산 해로 관광 시작 -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최초 - 6·15 남북 공동 선언: 남한의 연합제 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로의 연방제 안이서로 공통성이 있음을 인정 - 경의선 복구 사업·개성 공업 지구(개성 공단) 건설 합의 |
- 금강산 육로 정식 관광 시작 - 경의선 복구 완성 - 개성공단 착공식, 완공 - 제2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10·4 남북 공동 선언) |
- 제3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판문점 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