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24. 고도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와 통일 정책

기업도시연구원 2023. 2. 1. 18:42

현대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이승만 정부 박정희 정부
- 한·미 원조 협정 체결→원조 경제
- 삼백 산업(제분·제당·면방직): 소비재 산업 발달
- 귀속 재산 처리법 제정
1960년대 경공업 중심
- 베트남 파병, 서독 광부·간호사 파견→ 경제 개발 자본 획득
- 제1차·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도로·항만 등 사회 간접 자본 확충, 수출 위주의 경공업 발전에 주력

1970년대 중화학 공업 중심
- 경부 고속 국도 준공, 개통
- 제1차 석유 파동→중동 건설로 극복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제2차 석유 파동 → 경제 불황 심화
-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산업화·도시화→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 심화 → 새마을 운동: 농촌 근대화
- 전태일 분신 사건 
- 8·3 조치
전두환 정부 김영삼 정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 3저 호황: 저금리·저유가·저달러
- 최저 임금법 제정
- 금융 실명제 시행
-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 외환 위기 초래
- 외환 위기 극복: 기업 구조 조정, 노사정 위원회 설치 , 금 모으기 운동
- 2002 한·일 월드컵 개최
-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 개성 공단 완공: 남북한 경제 교류

통일을 위한 노력

장면 내각 박정희 정부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남북 학생 회담 요구 집회 - 남북 적십자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원칙) 자주, 평화, 민족적 대단결
(특징) 서울과 평양에서 동시 발표, 남북 조절 위원회 설치
이산가족 고향 방문단·예술 공연단: 최초의 이산가족 고향 방문 - 남북한 유엔(UN) 동시 가입
- 남북 기본 합의서
(배경) 제5차 고위급 회담의 결실
(내용)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한반도 비핵화 공동 선언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문재인 정부
- 정주영 소떼 방북
- 금강산 해로 관광 시작
- 제1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최초
- 6·15 남북 공동 선언: 남한의 연합제 안과 북한의 낮은 단계로의 연방제 안이서로 공통성이 있음을 인정
- 경의선 복구 사업·개성 공업 지구(개성 공단) 건설 합의
- 금강산 육로 정식 관광 시작
- 경의선 복구 완성
- 개성공단 착공식, 완공
- 제2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남북 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10·4 남북 공동 선언)
- 제3차 남북 정상 회담 개최
- 판문점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