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고려의 문화
고려의 학문과 사상 유학과 교육 기관의 흐름 고려 전기 태조: 6두품 유학자 활약, 광종: 과거제 시행, 성종: 최승로의 건의(국자감 정비, 향교 설치, 경학박사 파견 등) 고려 중기 사학: 최충(9재 학당, 사학 12도) vs 관학: 숙종(서적포), 예종(전문강좌 7재, 양현고, 청연각, 보문각), 인종: 경사 6학 고려 후기 충렬왕: 안향(성리학 소개), 국자감 개칭(성균관), 섬학전 설치, 충선왕: 이재현(만권당에서 원 학자와 교유), 공민왕(성균관을 순수 유교 교육 기관으로 개편), 신진사대부의 성리학 수용 도교 - 불로장생, 현세구복, 국가의 안녕, 왕실의 안정 추구 - 예종: 복원궁(도교 사원), 초제(하늘에 행사) - 팔관회(도교, 민간 신앙+불교) 풍수지리설 - 도참사상(미래의 길흉화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