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고대 국가 #불교 #설민석 #요약정리 (1) 썸네일형 리스트형 5.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문화 삼국의 경제 귀족 중심 경제 귀족은 공로 또는 관직 복무 대가로 녹읍·식읍 등을 받음 → 해당 토지에 지배권 행사 농업 중심 경제 농업 장려 정책 시행 → 철제 농기구 보급, 지증왕 때 우경 시행, 수리 시설 확충 등 수공업·상업 발달 시장 개설 → 지증왕 때 동시전(시장 감독 기구)· 동시(시장) 설치 구휼 제도 고국천왕 때 진대법 시행(춘대추납) 수취 제도 조·용·조 세법 도입 / 조(조세): 곡물과 포 징수 → 10분의 1 징수, 용(역): 15세 이상 남자 동원 → 통일 신라 때부터 16세 이상 남자 동원, 조(공납): 특산물 부과 대외 무역 고구려: 남북조 및 북방 유목 민족과 교역, 백제: 남주국 및 왜와 교역, 신라: 진흥왕 한강 유역 차지 이전: 고구려와 백제를 통해 중국과 간접 교역, 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