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삼국통일
1. 고구려 vs 수 고구려의 요서 지방 선제공격→수의 공격, 을지문덕 살수 대첩(고구려의 승) / 수 멸망→당 건국
2. 천리장성 축조 당의 침략에 대비, 고구려 영류왕 때 축조 시작(연개소문)→고구려 보장왕 때 완성
3. 삼국의 정세 고구려: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정권 장악 / 백제: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 등 40여 개성 확보(김춘추의 딸과 사위 품석 사망) / 신라: 김춘추가 고구려의 도움을 요청하러 갔으나 거절
4. 고구려 vs 당 당 태종의 침입→요동성 등 여러성 함락 / 당 태종 vs 양만춘 : 안시성 전투→고구려 승
5. 나·당 동맹 결성 김춘추의 대당 외교
6. 백재의 멸망 나·당 연합군의 백제 침공→황산벌 전투: 계백(백제) vs 김유신(신라)→백제 패배→사비성 함락→멸망→웅진 도독부 설치
7. 백제 부흥 운동 흑치상지·지수신: 임존성, 부여 풍·도침·복신: 주류성, 왜의 지원: 백강 전투
8. 계림 도독부 설치
9. 고구려 멸망 연정토의 신라 투항, 나·당 연합군의 침공→평양성 함락→멸망→안동 도호부 설치
10. 고구려 부흥 운동 검모잠: 한성, 신라의 지원: 문무왕이 안승을 금마저에 머물게함, 안승을 보덕국 왕으로 책봉
11. 나·당 전쟁 신라 vs 당: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신라 승
12. 신라의 삼국 통일 대동강~원산만 영토 확장
신라의 시기 구분
삼국사기 골품에 따른 구분
상대(上代) 박혁거새~진덕여왕, 성골왕 중대(中代) 무열왕~혜공왕, 진골 무열왕계 하대(下代) 선덕왕~경순왕, 진골 내물왕계
삼국유사 왕명에 따른 구분
상고(上古) 박혁거새~지증왕 중고(中古) 법흥왕~진덕여왕 하고(下古) 무열왕~경순왕
통일 신라의 발전
중대(中代) 중 앙 집사부 중심, 사정부 설치 / 지 방 9주 5소경, 향·부곡·소 설치, 외사정 설치
무열왕 최고의 진골 출신, 사정부 설치: 감찰기구, 백제 멸망 문무왕 삼국 통일 완성, 외사정 파견 신문왕 왕권강화: 김흠돌의 난 진압, 관료전 지급, 녹읍폐지, 만파식적 설화, 6두품(설총의 화왕계), 통치체제 정비: 지방행정정비: 9주 5소경, 군사제도 정비: 9서당 10정, 국학 설립 성덕왕 정전 지급 경덕왕 녹읍부활, 환화 정책, 불국사, 석굴암 건립 혜공왕 성덕대앙 신종 완성, 96각간의 난
하대(下代)
선덕왕 내물계 계승 원성왕 독서삼품과 헌덕왕 김헌창의 난 흥덕왕 장보고: 청해진 설치 문성왕 장보고의 난 진성여왕 삼대목 편찬, 원종과 애노의 난, 최치원: 시무 10여 조, 적고적의 난 경순왕 고려에 항복
발해의 성립과 발전
건국 대조영이 동모산에 건국
고구려 계승 옛 고구려 영토 회복, 온돌 장치, 이불병좌상, 치미 등이 고구려 문화와 유사
통치 체제 정비 중앙: 당의 3성 6부제 수용, 수상: 정당성의 대내상, 중정대: 감찰 기구 / 지방: 5경 15부 62주 / 군사: 10위(중앙), 지방군(지방)
무왕 대문예를 보내 흑수 말갈 정벌→대문예가 당으로 도망→장문휴를 보내 당의 산둥반도 공격→영토를 북만주 일대로 확장, 독자적인 연호 사용: 인안
문왕 당과 친선: 당이 설치한 발해관을 통해 교역, 신라와 친선: 신라도를 통해 교류, 천도: 중경→상경→동경, 3성6부제 중앙 관제 마련, 인재 양성: 주자감 설치, 독자적인 연호 사용: 대흥
선왕 당으로부터 해동성국이라 불림, 지방 행정 체제 완비: 5경 15부 62주
멸망 거란 야율아보기의 침입으로 멸망
'자격 life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려의 건국과 정치 발전 (1) | 2023.01.27 |
---|---|
5.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문화 (0) | 2023.01.26 |
3. 삼국 및 가야의 성립과 발전 (0) | 2023.01.19 |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0) | 2023.01.19 |
1. 선사 시대의 문화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