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6. 고려의 건국과 정치 발전

후삼국 시대의 상황

진골 귀족 간 왕위 쟁탈전(김헌창의 난) →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 → 호족의 성장(견훤, 궁예) 

 견훤 

- 무진주(광주) 일대 장악 → 스스로 왕위에 오름  

- 완산주(전주)를 도읍으로 삼고 후백제 건국 

- 중국 오월 및 후당과 외교, 사신 파견

- 신라 수도(금성)·포석정 공격  신라 경애왕 살해 

 궁예 

- 반신라 감정

- 송악(개성)을 도읍으로 삼아 후고구려 건국

- 광평성(최고 중앙 기구) 설치

- 철원 천도 

- 미륵불을 자처하며 폭정→왕건 추대


고려의 후삼국 통일

 900년 

 후백제  건국 : 견훤 / 도읍: 완산주

 901년~917년 

 후고구려 

건국('901): 궁예 / 도읍: 송악(개성) / 광평성 설치

금성(나주) 점령('903): 왕건 vs 후백제: 왕건 승

마진('904): 국호 변경, 연호: 무태, 철원 천도('905)

태봉('911): 국호 변경, 궁예 폭정→왕건 추대

 918년 

 고려 건국 건국: 왕건 / 도읍: 송악(개성) / 연호: 천수

 926년~930년 

 고려 vs 후백제 

견훤의 신라 금성 침공→신라가 고려에 지원 요청→견훤이 신라 경애왕 살해공산 전투('927): 후백제 vs 고려  후백제 승, 신숭겸 등 전사 / 고창 전투('930): 후백제 vs 고려  고려승 

 934년 

 대광현의 고려 귀순  발해 왕자 대광현이 백성 수만 명을 거느리고 고려에 귀순

 935년 

 견훤의 금산사 유폐  왕위 계승 문제(신검 vs 금강)  신검이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  견훤은 탈출 후 왕건에 항복

 신라의 항복  신라 경순왕(김부)을 사심관으로 임명

 936년 

 후백제 멸망  

리천 전투: 후백제(신검) vs 고려 → 고려 승 / 황산 전투: 신검 항복, 고려 승

 민족의 재통일 


고려 지배층의 변천

  918년 

① 호족+6두품: 중앙 관료문벌 귀족(음서, 공음전, 가문 중시, 보수적, 사대적, 김부식, 이자겸) → 무신(능력 중시, 하극상 풍조 만연) → 권문세족(친원파) 

② 호족+6두품: 향리 (과거를 통한 중앙 진출) → 신진사대부(정도전, 정몽주) + 신흥 무인세력(최영, 이성계)


고려 초기 국왕의 업적

 태조 왕건  연호: 천수 / 관제 마련: 태봉+신라+중국 / 호족 통합 정책: 정략결혼, 사성 정책, 역분전 지급 / 호족 견재 정책: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 민생 안전: 취민유도(1/10), 흑창 설치 / 훈요10조 / 정계, 계백료서

 혜종  왕규의 난

 정종  광군과 광군사 설치: 거란의 침입 대비

 광종  노비안검법(왕권강화): 호족 약화, 국가 재정 확충, 칭제건원(왕권강화): 광덕, 준풍 연호 사용 / 인재 양성: 쌍기의 건의 과거제 시행 / 체제 정비: 사색 공복 제정 / 대외관계: 후주와 사신 교환 / 불교 융성: 귀법사 청건(초대 주지균여)

 경종  시정 전시과

 성종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중앙 집권적 귀족 정치 / 외관(지방관) 파견: 12목 설치, 자방관 파견 / 최승로의 5조 정적평 수용: 광종 비판 / 통치 체제 정비: 26성 6부의 중앙 관제 마련, 향리 제도 마련, 3경 체제: 개경·서경·동경, 거란의 제 1차 침입

 목종  개정 전시과

 현종  지방 행정 구역 정비: 5도 양계, 거란의 제2·3차 침입


11~12세기 거란과 여진의 침입

 거란의 제1차 침입('993)   원인: 친송배거 정책 / 침입: 성종 때 소손녕이 8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 / 외교 담판: 소손녕 vs 서희 / 결과: 강동 6주 획득 

 거란의 제2차 침입('1010)   원인: 강조의 정변(목종 폐위, 김치양 제거→현종 옹립) / 침입: 고려 현종이 나주로 피신 / 대응 : 양규의 활약 / 결과: 고려 현종의 친조 약속 

 거란의 제3차 침입('1018)  원인: 친조 불이행 / 침입: 소배압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 / 대응: 강감찬의 귀주 대첩('1019) / 결과: 나성 축조(개경), 천리장성 축조(압록강~도련포) 

 여진의 침입   별무반 조직(신기전·신보군·항미군): 고려 숙종 때 윤관의 건의 → 동북 9성 축조: 고려 예종 떄 윤관이 여진을 정벌한 뒤 건립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문벌귀족  성립: 건국 초(호족+6두품) → 여러 대에 걸쳐 고위 관직 차지 → 문벌 귀족 / 왕실과의 혼인, 중첩된 혼인으로 결속 강화 / 음서와 공음전의 혜택

문벌 귀족 사회의 동요

 이자겸의 난(1126)  배경: 이자겸의 권력 장악→인종의 이자겸 제거 계획 / 과정: 이자겸(+척준경)이 난을 일으킴→인종의 척준경 회유→이자겸의 난 실패 / 영향: 문벌 귀족 사회의 분열 심화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배경: 묘청의 서경 천도 주장(풍수지리설) / 과정: 천도 운동 좌절 → 묘청의 반란  김부식+관군에게 진압 / 신채호의 『조선사연구초』: 일천년래제일대사건


무신 정변과 무신 집권기의 혼란상

 무신정변(1170)  배경: 의종의 실정과 무신에 대한 차별 대우 / 발발: 보현원에서 이고·이의방·정중부 등의 무신들이 정변을 일으킴

 무신집권기   이고  x  이의방 배반부신의 난 /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 /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  정중부 경중방을 중심으로 권력 독점→무신 간 권력 쟁탈전 심화 / 하층민의 봉기: 망이·망소이의 난(공주 명학소)  경대승  도방: 신변 경호, 숙위 기관 / 전주 관노의 난  이의민  천민 출신 / 경대승 사후 권력 장악 / 김사미·효심의 난: 신라 부흥 운동 주장  최충헌  교정도감: 최고 정치 기구 / 교정별감이 됨 / 봉사 10조: 국정 개혁안 / 도방 확대 개편 / 신분 해방 운동: 만적의 난 / 최광수의 난: 고구려 부흥 주장  최우  정방: 자신의 집에 설치, 인사 행정 담당 / 서방: 문신 숙위 기관 / 삼별초: 최씨 무신 정권의 사병 기관  최항   최의   김준·임연·임유무 


13세기 몽골의 침입과 원 간섭기

 몽골의 침입(13세기)  최초 조우: 강동성 전투 / 제1차 침입(원인: 몽골 사신 저고여 피살, 항전①박서 vs 살리타 ②지광수: 충주성) / 강화 천도: 최우 / 제 2차 침입: 김윤후(처인성 전투) vs 살리타 / 김윤후의 충주성 전투 / 개경 환도: 무신 정권 몰락 / 삼별초의 항쟁: 진도(배중손)  제주도(김통정) / 민중 항쟁: 충주 다인철소 등 / 문화재 소실: 초조대장경, 황룡사 9층목탑 /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제작

 원 간섭기   영토 상실  쌍성총관부·동녕부·탐라총관부 설치  관제 격하  중서문하성+상서성→첨의부 / 충추원 → 밀직사 /  왕실용어 격하  왕 시호 앞에 충자 붙임: 충렬와, 충선왕 등  내정 간섭  만호군(군사), 다루가치(감찰관) / 정동행성: 일본 정벌기구내정 간섭 기구  자원 수탈  공녀(결혼도감) / 매(응방), 특산물 징발 / 몽골풍(변발, 호복) 고려양 유행


원 간섭기 주요 국왕과 고려의 멸망

 충렬왕  영토 반환받음, 동녕부, 탐라총관부

 충선왕  개혁 시도, 사림원 설치, 각염법: 소금 전매제

 충목왕  개혁 시도영토: 정치도감 설치

 공민왕  반원 자주 정책(친원 세력(기철) 제거, 몽골풍 금지, 관제 복구, 정동행성 폐지, 쌍성총관부 탈환)

 홍건적의 침입  공민왕의 복주(안동) 피신, 안동 놋다리 밟기 유래, 신흥 무인 세력 활약

 우왕  최영의 친원 세력(이인임) 제거 / 왜구의 침입: 신흥 무인 세력 활약(최무선 건의→화통도감 설치→화약 화포 제작→진포 대첩, 이성계의 황산 대첩, 정지의 관음포 해전) / 명의 철령위 설치 요구→요동 정벌론 vs 4불가론 → 위화도 회군 

 창왕  박위의 대마도 정벌, 폐가입진→폐위

 공양왕  과전법 시행, 고려 멸망


고려 말 세력 비교

  신진사대부 권문세족 신흥 무인 세력
특징 - 중소 지주 향리 자제 출신
- 과거를 통해 관직 진출
- 사상적 기반: 성리학
- 부원 세력
- 음서를 통해 관직 진출
홍건적과 왝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성장 
인물 정도전, 조준 등 기철, 이인임 등  최영, 이성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