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15.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일제의 국권 침탈

1904년 1905년
러일 전쟁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협약 열강의 승인 제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 제1차 영일 동맹→일본과 러시아의 대립 심화(용암포 사건)→대한 제국 국외 중립 선언→러일 전쟁 발발 내용: 군사 기지 사용권  내용: 고문통치
- 재정 고문(메가타)
- 외교 고문(스티븐스)
- 가쓰라 태프트 밀약
- 제2차 영일 동맹
- 포츠머스 조약
내용: 통감 통치, 외교권 박탈(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반발과 저항: 민영환, 조병세 등 자결,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을사의병, 나철 등 자신회 조직

 

1907년 1909~1910년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의 강제 퇴위 한일신협약
(정미 7조약)
군대 해산 기유각서 
(목적)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함
이준, 이위종, 이상설 파견 
(배경) 헤이그 특사 파견
(결과) 순종에게 양위
(내용) 차관 통치, 통감의 권한 강화 대한제국 군대 해산→박승환 자결 (내용) 사법권 감옥 관리 자격 박탈 
한일 병합 조약
황현 자결 

항일 의병 운동과 의거 활동

항일 의병 운동

을미의병(1895)

(배경) 을미사변, 단발령

(주도) 유인석, 이소응, 동학 잔여 세력

(해산) 단발령 철회와 고종의 해산 권고 

을사의병(1905)

(배경) 을사늑약 체결

(주도)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평민 의병장)

(특징) 최초로 평민 의병장이 활약

정미의병(1907)

(배경)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 해산

(주도) 이인영, 허위 등

(특징) 해산된 군인의 합류로 전투력 가오하,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할 것을 요구

(전개) 13도 창의군 조직→양주 집결→서울 진공 작전→동대문 근처까지 진겨하였으나 실패

(결과) 남한 대토벌 작전→국내 의병 위축, 간도 연해주로 이동 

항일 의거 활동

장인환·전명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저격 

안중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 저격(1909) / 동양평화론 저술

이재명 명동 성당에서 이완용 처단 시도(1909) → 실패


애국 계몽 운동 

농광 회사(1904) 

- 이도제·김종한 등이 설립

- 일제의 토지 침탈을 막고자 개간 사업 추진

보안회(1904)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저지

대한 자강회(1906)

- 전국 지회 설치, 월보 간행

- 고종의 강제 퇴위 반대 운동 전개→강제 해산

신민회(1907) 

- (조직) 안창호, 양기탁을 중심으로 비밀 결사 형태로 조직

- (활동) 교육: 오산 학교, 대성 학교 설립 / 산업: 태극 서관, 자기 회사 운영 / 군사: 국외에 무관 학교 설립 추진(신흥 강습소→신흥 무관 학교)  / 복표: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건설 / 해체: 105인 사건


간도와 독도

간도

- 조선 숙종 때 백두산 정계비 건립

- 대한 제국 때 이범윤을 간도 관리사로 파견

- 간도 협약(1909):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일본과 청이 협약을 맺음 

독도

- 신라 지증왕 때 이사부의 우산국과 부속 도서 복속

-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 우산, 무릉 등

- 조선 숙종 때 안용복의 독도 수호

- 일본 메이지 정부의 태정관 지령

- 대한 제국 떄 고종 황제가 칙령 제41호 선포

- 러일 전쟁 도중 일본이 불법으로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