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 계몽 운동 (1) 썸네일형 리스트형 15.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일제의 국권 침탈 1904년 1905년 러일 전쟁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협약 열강의 승인 제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 제1차 영일 동맹→일본과 러시아의 대립 심화(용암포 사건)→대한 제국 국외 중립 선언→러일 전쟁 발발 내용: 군사 기지 사용권 내용: 고문통치 - 재정 고문(메가타) - 외교 고문(스티븐스) - 가쓰라 태프트 밀약 - 제2차 영일 동맹 - 포츠머스 조약 내용: 통감 통치, 외교권 박탈(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반발과 저항: 민영환, 조병세 등 자결,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을사의병, 나철 등 자신회 조직 1907년 1909~1910년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의 강제 퇴위 한일신협약 (정미 7조약) 군대 해산 기유각서 (목적)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함 이준, 이위종, 이..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