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약정리

(5)
24. 고도성장과 사회·문화의 변화와 통일 정책 현대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이승만 정부 박정희 정부 - 한·미 원조 협정 체결→원조 경제 - 삼백 산업(제분·제당·면방직): 소비재 산업 발달 - 귀속 재산 처리법 제정 1960년대 경공업 중심 - 베트남 파병, 서독 광부·간호사 파견→ 경제 개발 자본 획득 - 제1차·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도로·항만 등 사회 간접 자본 확충, 수출 위주의 경공업 발전에 주력 1970년대 중화학 공업 중심 - 경부 고속 국도 준공, 개통 - 제1차 석유 파동→중동 건설로 극복 -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제2차 석유 파동 → 경제 불황 심화 - 제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 - 산업화·도시화→도시와 농촌 간 소득 격차 심화 → 새마을 운동: 농촌 근대화 ..
23. 자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제1공화국 1950년 1951년 1952년 1954년 1956년 6·25전쟁 발발 자유당 창당 - 부산 정치 파동 - 1차 개헌(발췌 개헌): 대통령 간선제→대통령 직선제 - 제2대 대통령 선거: 이승만 당선 2차 개선(사사오입 개헌) - 초대 대통령에 한하여 중임 제한 철폐 - 제 3대 대통령 선거 - 진보당 창당→진보당 사건: 조방암 사형 - 보안법 파동: 신국가 보안법 제정 - 경향신문 폐간 1960년 - 3·15 부정 선거 → 이승만(대통령), 이기붕(부통령) 당선 - 4·19 혁명 (배경) 3·15부정선거 (전개) 마산 시위→김주열 시신 발견→전국 확산→비상계엄령 선포→대학 교수단의 시국 선언 및 시위→이승만 하야 (결과) 허정 과도 정부 수립→3차 개헌(내각 책임제, 양원제) - 제4대 대통령..
2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 전쟁 광복 전후 국제 회의 카이로 회담 알타 회담 포츠담 회담 미·소의 38선 분할 점령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 참여: 미·영·중 - 최초로 독립 약속 - 참여: 미·영·소 - 소련 참전 약속 - 신탁통치 밀약 - 참여: 미·영·소·중 - 일본의 무조건 항복 요구 - 독립 재확인 - 소련: 북(8월) - 미국: 남(9월) - 참여: 미·영·소 - 결의: 한반도 임시정부 수립,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최고 5년간 신탁 통치→좌익(찬탁) vs 우익(반탁) 국내외 건국 준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조선 독립 동맹 조선 건국 동맹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한국 민주당 - 송진우·김성수 등이 결성 - 미군정이 인정 x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미군정이 인정 x - 개인 자격으로 입국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 - 미국에..
16.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문화의 변화 개항 이후의 경제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 조일 수호 조규 부록: 간행이정 10리, 일본 화폐 사용→거류지 무역 발달(객주, 여각, 보부상 등 이득) - 조일 무역 규칙: 무관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일본 상인의 중계 무역→미면교환 체제→쌀 부족 임오군란 이후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 허용 - 조일 통상 장정: 최혜국 대우 ↓ - 청과 일본 상인 간 상권 경재 심화 - 상권 수호 운동 전개: 상회사 설립, 동맹 철시, 황국 중앙 총상회 조직 청일 전쟁 이후 - 청일 전쟁에서 일본 승리→일본 상인의 조선 무역 독점+일본산 면제품 판매 열강의 이권 침탈 러시아 두만강 울릉도의 삼림 채벌권 미국 전기, 전차, 운산 금광 채굴권 영국 은산 금광 채굴권 일본 경인선 완공(1899)..
15.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일제의 국권 침탈 1904년 1905년 러일 전쟁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협약 열강의 승인 제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 제1차 영일 동맹→일본과 러시아의 대립 심화(용암포 사건)→대한 제국 국외 중립 선언→러일 전쟁 발발 내용: 군사 기지 사용권 내용: 고문통치 - 재정 고문(메가타) - 외교 고문(스티븐스) - 가쓰라 태프트 밀약 - 제2차 영일 동맹 - 포츠머스 조약 내용: 통감 통치, 외교권 박탈(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반발과 저항: 민영환, 조병세 등 자결,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을사의병, 나철 등 자신회 조직 1907년 1909~1910년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의 강제 퇴위 한일신협약 (정미 7조약) 군대 해산 기유각서 (목적)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함 이준, 이위종,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