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배경
국내 일제의 무단 통치에 대한 반발, 고종의 독살설
국외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레닌의 식민지·반식민지 해방 지원 약속, 신한 청년당(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 대동단결 선언, 대한 독립 선언서(무오 독립 선언서), 2·8 독립 선언서
전개 과정
1단계 종교계 중심의 민족 대표 33인+학생 → 고종의 인산일에 맞추어 민족 대표 중 29인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 낭독 → 탑골 공원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비폭력 만세 시위 전개
2단계 전국 주요 도시로 확대
3단계 농촌 지역으로 확산, 폭력적인 양상을 보임
국외 확산 만주·연해주·미주·일본 등 국외로 확산
탄압
- 일제의 무력 진압
- 제암리 학살 사건 등 민간인 학살
결과
- 일제의 통치 방식 변화: 무단 통치 → 문화 통치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
의의
- 중국의 5·4 운동에 영향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 3·1 운동 이후 국내에 한성 정부, 연해주에 대한 국민 의회,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로 통합(한성 정부의 법통 계승, 대한 국민 의회 흡수)
활동
1차 개헌
- 대통령 중심제
- 연락망 조직: 연통제·교통국 운영
- 독립신문 발간, 임시 사료 편찬 위원회에서 한·일 관계 사료집 간행
- 외교 활동: 파리 강화 회의 파견(김규식): 구미 위원부 설치(이승만)
- 무장 활동: 군무부에서 군사 업무 총괄: 광복군 사령부 설치, 직할 부대로 육군 주만 참의부 설치
- 서로 군정서 및 불로 군정서와 연계
- 한인 비행 학교 설립
- 독립운동 자금 모급: 독립 공채(애국 공채) 발행
- 국민 대표 회의 (배경) 이승만의 위임 통치 청원서, 연통제·교통국 발각 (전개) 임시 정부의 방략 논의 → 창조파와 개조파가 대립 → 결렬
2차 개헌 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제
3차 개헌
- 국무 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
- 한인 애국단 조직: 이봉창·윤봉길 의거
4차 개헌
- 한국 독립당 창당
- 주석 중심제
- 대한민국 임시 정부 건국 강령 발표: 조소앙의 삼균주의 반영
- 한국 광복군 창설
5차 개헌 주석·부주석 중심제
'자격 life >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국내의 사회·경제적 민족 운동 (0) | 2023.02.01 |
---|---|
19. 무장 독립 전쟁의 전개 (0) | 2023.02.01 |
17. 일제의 식민 정책과 민족의 수난 (0) | 2023.02.01 |
16.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문화의 변화 (0) | 2023.01.31 |
15.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0)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