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 life/한국사 능력검정시험

21. 민족 문화 수호 운동

역사 연구

식민 사학 조선사 편수회 / 청구 학회

식민 사관 정체성론 / 당파성론 / 타율성론 / 일선동조론

실증주의 사학 이병도(진단 학회) / 실증, 객관성 중시

사회 경제 사학 백남운 / 유물 사관

민족주의 사학 박은식(국혼), 신채로(낭가), 정인보(얼), 문일평(조선 심) / 정신 사관

백남운 -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저술
- 식민 사관 중 정체성론 비판
이병도 - 진단 학회 조직 → 진단 학보 발간
박은식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제2대 대통령
- 임시 사료 편찬회에서 한·일 관계 사료집 편찬
- 근대사 연구: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신채호 - 고대사 연구: 독사신론, 조선 상고사, 조선사연구초 등
조선학 운동 - 실학 재평가
- 일평·재홍·인보 주도
- 다산 정약용 서거 99주념 기념 여유당전서 간행

Tip! 조선 학. 문. 안. 정

 


국어 연구

국문 연구소(1907) 조선어 연구회(1921) 조선어 학회(1931) 조선어 학회 사건(1942)
- 학부에 설치된 최초의 국어 연구 기관
- 국어문법(주시경)
- 국문 연구 의정안(지석영)
- 잡지 '한글' 간행
- '갸갸날(한글날)' 제정
- 표준어 제정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 우리말 큰 사전(조선말 큰사전) 편찬 착수 → 광복 이후 완성
일제가 조선어 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규정하고 치안 유지법 위반을 적용하여 탄압함 → 해산 

문예 활동

1910년대 문학: 무정(이광수)

1920년대 

- 저항 문학: 진달래꽃(김소원), 님의 침묵(한용운), 빼앗길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

- 동인지 간생: 백조, 폐허 등

- 신경향파 문학(프로문학): 사회주의의 영향, 카프 문학 단체 결성 → 계급 문학 확산

- 연극: 토월화

- 영화: 나운규의 아리랑

1930년대

- 순수 문학: 청록파(조지훈, 박두진, 박목월)

- 농촌 계몽 문학: 상록수(심훈)

- 사회주의 문학: 고향(이기영) 

안익태: 애국가 작곡

1940년대

- 친일 문학: 최남선, 이광수, 서정주

- 저항 문학: 절정·광야(이육사), 별 헤는 밤·서시·유고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윤동주)

- 미술: 소(이중섭)


종교활동

- 대종교: 중광단 → 북로 군정서 조직

- 천도교: 제2의 독립 선언 운동(6·10 만세 운동) 계획, 소년 운동, 잡지 개벽·신여성

- 개신교: 일제의 신사 참배 강요에 거부 운동 전개

- 천주교: 의민단 조직, 경향신문 창간

- 원불교: 박중빈 창시, 새 생활 운동 전개

- 불교: 한용운의 조선 불교 유신회 조직, 사찰령 폐지 운동


일제의 언론 정책

- 1910년대: 언론의 자유 x 

- 1920년대: 조선일보·동아일보 발행 허가 → 검열

- 1930년대: 손기정 일장기 말소 사건

- 1940년대: 조선일보·동아일보 폐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