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6)
8. 고려의 문화 고려의 학문과 사상 유학과 교육 기관의 흐름 고려 전기 태조: 6두품 유학자 활약, 광종: 과거제 시행, 성종: 최승로의 건의(국자감 정비, 향교 설치, 경학박사 파견 등) 고려 중기 사학: 최충(9재 학당, 사학 12도) vs 관학: 숙종(서적포), 예종(전문강좌 7재, 양현고, 청연각, 보문각), 인종: 경사 6학 고려 후기 충렬왕: 안향(성리학 소개), 국자감 개칭(성균관), 섬학전 설치, 충선왕: 이재현(만권당에서 원 학자와 교유), 공민왕(성균관을 순수 유교 교육 기관으로 개편), 신진사대부의 성리학 수용 도교 - 불로장생, 현세구복, 국가의 안녕, 왕실의 안정 추구 - 예종: 복원궁(도교 사원), 초제(하늘에 행사) - 팔관회(도교, 민간 신앙+불교) 풍수지리설 - 도참사상(미래의 길흉화복을 ..
7. 고려의 경제와 사회 고려의 토지 제도 전시과 제도 관리의 관직 복무 대가로 전지와 시지의 수조권을 분급 / 사망 또는 퇴직 시 반납이 원칙 태조 역분전 경종 시정 전시과 목종 개정 전시과 문종 경정 전시과 원종 녹과전 공양왕 과전법 공음전 5품 이상 관료에게 지급, 세습 가능, 문벌 귀족의 경제 기반 군인전 2군 6위의 중앙군에게 지급, 군역과 함꼐 자손에게 세습 외역전 향리에게 지급, 직역과 함께 자손에게 세습 한인전 6품 이하 관리의 자제 중 관직에 오르지 못한 자에게 지급 구분전 하급 관리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고려의 수취 제도 조세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부과: 생산량의 1/10, 지방의 조세는 13곳의 조창에 모은 뒤 조운을 통해 개경의 경창 등으로 운반 공납 호(戶) 단위 특산물 부과, 할당:..
6. 고려의 건국과 정치 발전 후삼국 시대의 상황 진골 귀족 간 왕위 쟁탈전(김헌창의 난) → 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 약화 → 호족의 성장(견훤, 궁예) 견훤 - 무진주(광주) 일대 장악 → 스스로 왕위에 오름 - 완산주(전주)를 도읍으로 삼고 후백제 건국 - 중국 오월 및 후당과 외교, 사신 파견 - 신라 수도(금성)·포석정 공격 → 신라 경애왕 살해 궁예 - 반신라 감정 - 송악(개성)을 도읍으로 삼아 후고구려 건국 - 광평성(최고 중앙 기구) 설치 - 철원 천도 - 미륵불을 자처하며 폭정→왕건 추대 고려의 후삼국 통일 900년 후백제 건국 : 견훤 / 도읍: 완산주 901년~917년 후고구려 건국('901): 궁예 / 도읍: 송악(개성) / 광평성 설치 금성(나주) 점령('903): 왕건 vs 후백제: 왕건 승 마진('904)..
5. 고대 국가의 경제·사회·문화 삼국의 경제 귀족 중심 경제 귀족은 공로 또는 관직 복무 대가로 녹읍·식읍 등을 받음 → 해당 토지에 지배권 행사 농업 중심 경제 농업 장려 정책 시행 → 철제 농기구 보급, 지증왕 때 우경 시행, 수리 시설 확충 등 수공업·상업 발달 시장 개설 → 지증왕 때 동시전(시장 감독 기구)· 동시(시장) 설치 구휼 제도 고국천왕 때 진대법 시행(춘대추납) 수취 제도 조·용·조 세법 도입 / 조(조세): 곡물과 포 징수 → 10분의 1 징수, 용(역): 15세 이상 남자 동원 → 통일 신라 때부터 16세 이상 남자 동원, 조(공납): 특산물 부과 대외 무역 고구려: 남북조 및 북방 유목 민족과 교역, 백제: 남주국 및 왜와 교역, 신라: 진흥왕 한강 유역 차지 이전: 고구려와 백제를 통해 중국과 간접 교역, 진..
4.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신라의 삼국통일 1. 고구려 vs 수 고구려의 요서 지방 선제공격→수의 공격, 을지문덕 살수 대첩(고구려의 승) / 수 멸망→당 건국 2. 천리장성 축조 당의 침략에 대비, 고구려 영류왕 때 축조 시작(연개소문)→고구려 보장왕 때 완성 3. 삼국의 정세 고구려: 연개소문이 정변을 일으켜 정권 장악 / 백제: 의자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 등 40여 개성 확보(김춘추의 딸과 사위 품석 사망) / 신라: 김춘추가 고구려의 도움을 요청하러 갔으나 거절 4. 고구려 vs 당 당 태종의 침입→요동성 등 여러성 함락 / 당 태종 vs 양만춘 : 안시성 전투→고구려 승 5. 나·당 동맹 결성 김춘추의 대당 외교 6. 백재의 멸망 나·당 연합군의 백제 침공→황산벌 전투: 계백(백제) vs 김유신(신라)→백제 패배→사..
3. 삼국 및 가야의 성립과 발전 1. 삼국의 성립과 발전 고대국가 왕위 세습, 율령반포, 불교 수용, 영토 확장 / 발전 순서: 고구려 → 백제 → 신라 (1) 고구려의 건국과 성장 1세기 태조왕 옥저 복속,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2세기 고국천왕 진대법, 부족적 5부 → 행정적 5부 개편 3세기 동천왕 위 관구검의 침입으로 환도성 함락 4세기 미천왕 낙랑군 축출, 서안평 점령 고국원왕 평양성 전투 死 소수림왕 불교 수용(전진), 태학 설립, 율령 반포 5세기 광개토대왕 백제공격: 한각 이북 차지, 요동 진출,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근거: 호우명 그릇, 광개토대왕릉비 / 결과: 가야의 중심지 금관가야 → 대가야) 장수왕 남진 정책: 평양 천도, 백제의 수도 한성 함락: 개로왕 死, 광개토 대왕릉비· 충주 고구려비 건립 6세기 문자..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1. 국가 발전 단계 (1) 군장 국가(옥저, 동예): 왕 x, 군장이 이끄는 국가 체제 ↓ (2) 연맹 왕국(부여, 가야): 왕 o, 군장의 힘이 ↑ ↓ (3) 고대 국가(고구려, 백제, 신라): 왕을 중심으로 중앙 집권화 2.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1) 고조건의 건국 건국 청동기 문화를 바탕 특징 최초의 군장 국가, 8조법(생명존중, 사유재산 인정, 계급사회, 화폐사용) 통치이념 홍익인간 기록 삼국유사, 동국통감, 제왕운기, 동국여지승람 등 (2) 기원전 3세기경 ● 왕위 세습: 부왕 → 준왕 ● 관직 설치: 상 대부 장군 ● 요서 지방(랴호허강)을 경계로 연과 대립 → 연 장수 진개의 공격으로 땅을 잃음 (3) 위만조선 위만의 집권 위만이 진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와 준왕을 몰아..
1. 선사 시대의 문화 1. 구석기 시대 (1) 의: 짐승 가죽 (2) 식: 사냥 채집, 어로 (3) 주: 동굴, 강가 막집에 거주 (4) 사회: 무리 사회, 이동 생활, 평등 사회 (5) 유물: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개 (6) 유적: 충남 공주 석장리 (7) 예술: 고래, 물고기 등을 새긴 조각품 주먹도끼 슴베찌르게 긁개 2. 신석기 시대 (1) 의: 가락바퀴, 뼈바늘 → 옷, 그물 (2) 식: 농경(밭), 목축 시작 (3) 주: 정착생활 (4) 사회: 부족사회(족외혼), 평등사회, 애니미즘(예: 일본 신사), 토테미즘(예: 연대→독수리, 고대→호랑이), 샤머니즘 (5) 유물: 간석기, 빗살무니 토기, 덧무늬 토기 (6) 유적: 한경 고산리, 부산 동삼동 (7) 예술:조깨 껍데기 가면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갈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