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고려의 문화
고려의 학문과 사상 유학과 교육 기관의 흐름 고려 전기 태조: 6두품 유학자 활약, 광종: 과거제 시행, 성종: 최승로의 건의(국자감 정비, 향교 설치, 경학박사 파견 등) 고려 중기 사학: 최충(9재 학당, 사학 12도) vs 관학: 숙종(서적포), 예종(전문강좌 7재, 양현고, 청연각, 보문각), 인종: 경사 6학 고려 후기 충렬왕: 안향(성리학 소개), 국자감 개칭(성균관), 섬학전 설치, 충선왕: 이재현(만권당에서 원 학자와 교유), 공민왕(성균관을 순수 유교 교육 기관으로 개편), 신진사대부의 성리학 수용 도교 - 불로장생, 현세구복, 국가의 안녕, 왕실의 안정 추구 - 예종: 복원궁(도교 사원), 초제(하늘에 행사) - 팔관회(도교, 민간 신앙+불교) 풍수지리설 - 도참사상(미래의 길흉화복을 ..
3. 삼국 및 가야의 성립과 발전
1. 삼국의 성립과 발전 고대국가 왕위 세습, 율령반포, 불교 수용, 영토 확장 / 발전 순서: 고구려 → 백제 → 신라 (1) 고구려의 건국과 성장 1세기 태조왕 옥저 복속,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2세기 고국천왕 진대법, 부족적 5부 → 행정적 5부 개편 3세기 동천왕 위 관구검의 침입으로 환도성 함락 4세기 미천왕 낙랑군 축출, 서안평 점령 고국원왕 평양성 전투 死 소수림왕 불교 수용(전진), 태학 설립, 율령 반포 5세기 광개토대왕 백제공격: 한각 이북 차지, 요동 진출, 신라에 침입한 왜 격퇴(근거: 호우명 그릇, 광개토대왕릉비 / 결과: 가야의 중심지 금관가야 → 대가야) 장수왕 남진 정책: 평양 천도, 백제의 수도 한성 함락: 개로왕 死, 광개토 대왕릉비· 충주 고구려비 건립 6세기 문자..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1. 국가 발전 단계 (1) 군장 국가(옥저, 동예): 왕 x, 군장이 이끄는 국가 체제 ↓ (2) 연맹 왕국(부여, 가야): 왕 o, 군장의 힘이 ↑ ↓ (3) 고대 국가(고구려, 백제, 신라): 왕을 중심으로 중앙 집권화 2. 고조선의 건국과 발전 (1) 고조건의 건국 건국 청동기 문화를 바탕 특징 최초의 군장 국가, 8조법(생명존중, 사유재산 인정, 계급사회, 화폐사용) 통치이념 홍익인간 기록 삼국유사, 동국통감, 제왕운기, 동국여지승람 등 (2) 기원전 3세기경 ● 왕위 세습: 부왕 → 준왕 ● 관직 설치: 상 대부 장군 ● 요서 지방(랴호허강)을 경계로 연과 대립 → 연 장수 진개의 공격으로 땅을 잃음 (3) 위만조선 위만의 집권 위만이 진한 교체기에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와 준왕을 몰아..
1. 선사 시대의 문화
1. 구석기 시대 (1) 의: 짐승 가죽 (2) 식: 사냥 채집, 어로 (3) 주: 동굴, 강가 막집에 거주 (4) 사회: 무리 사회, 이동 생활, 평등 사회 (5) 유물: 뗀석기(주먹도끼, 찍개), 슴베찌르개 (6) 유적: 충남 공주 석장리 (7) 예술: 고래, 물고기 등을 새긴 조각품 주먹도끼 슴베찌르게 긁개 2. 신석기 시대 (1) 의: 가락바퀴, 뼈바늘 → 옷, 그물 (2) 식: 농경(밭), 목축 시작 (3) 주: 정착생활 (4) 사회: 부족사회(족외혼), 평등사회, 애니미즘(예: 일본 신사), 토테미즘(예: 연대→독수리, 고대→호랑이), 샤머니즘 (5) 유물: 간석기, 빗살무니 토기, 덧무늬 토기 (6) 유적: 한경 고산리, 부산 동삼동 (7) 예술:조깨 껍데기 가면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갈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