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조선의 문화
유학의 흐름 15세기 훈구파 성리학 외 타 학문 수용 o, 국가 통치 이념으로 주례 중시, 중앙 집권 추구 vs 사림파 성리학 외 타 학문 수용 x, 국가 통치 이념으로 춘추 중시, 향촌 자치 추구 16세기 김장생 호: '사계', '가례집람' 저술 이황 주리론: '이'강조, 이기이원론 / 경향: 이상적, 근본적 /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예안향약 저술 vs 이이 주기론: '기' 강조, 이통기국론 / 경향: 현실적, 개혁적 / 동호문답, 성학집요, 격몽요결, 해주향약, 서원향약 저술 / 수미법, 십만양병설 주장 17세기 예학 발달+성리학 절대화→사무난적 논쟁+예송 논쟁 18세기 양명학 성리학 비판 / 실천성 강조: '지행합일', '치양치' / 강화 학파(하곡 정제두): 양명학 연구 ..
9. 조선의 정치
신진 사대부의 분화와 조선의 건국 조선 유교정치의 발전 태조 ※ 이성계 - 국호 '조선', 한양 천도 - 조준: 『경제육전』 저술 - 정도전: 성리학적 통치 이념 확립, 재상 중심 정치 주장, 궁권과 사대문 등의 이름을 지음, 『경제문감』 저술, 『불씨잡변』 저술,『조선경국전』 저술, 제1차 왕자의 난 때 죽음 (Tip 경.고 불.조.심하삼) 정종 - 개경 천도 -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태종 ※ 이방원 - 한양 천도 - 왕권 강화 정책(6조 직계제 시행: 의정부 권한 약화, 종친, 외척의 정치 참여 제한, 사병 혁파, 사간원 독립) - 국가 재정 확충(양전 사업 시행, 호패법 시행, 사원전 몰수) - 민생 안정: 신문고 설치 세종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의정부 서사제 시행 - 집현전 설치, 경연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