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6)
16. 개항 이후의 경제와 사회·문화의 변화 개항 이후의 경제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 조일 수호 조규 부록: 간행이정 10리, 일본 화폐 사용→거류지 무역 발달(객주, 여각, 보부상 등 이득) - 조일 무역 규칙: 무관세, 양곡의 무제한 유출+일본 상인의 중계 무역→미면교환 체제→쌀 부족 임오군란 이후 -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 허용 - 조일 통상 장정: 최혜국 대우 ↓ - 청과 일본 상인 간 상권 경재 심화 - 상권 수호 운동 전개: 상회사 설립, 동맹 철시, 황국 중앙 총상회 조직 청일 전쟁 이후 - 청일 전쟁에서 일본 승리→일본 상인의 조선 무역 독점+일본산 면제품 판매 열강의 이권 침탈 러시아 두만강 울릉도의 삼림 채벌권 미국 전기, 전차, 운산 금광 채굴권 영국 은산 금광 채굴권 일본 경인선 완공(1899)..
15. 일제의 침략과 국권 수호 운동의 전개 일제의 국권 침탈 1904년 1905년 러일 전쟁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협약 열강의 승인 제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 제1차 영일 동맹→일본과 러시아의 대립 심화(용암포 사건)→대한 제국 국외 중립 선언→러일 전쟁 발발 내용: 군사 기지 사용권 내용: 고문통치 - 재정 고문(메가타) - 외교 고문(스티븐스) - 가쓰라 태프트 밀약 - 제2차 영일 동맹 - 포츠머스 조약 내용: 통감 통치, 외교권 박탈(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반발과 저항: 민영환, 조병세 등 자결,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게재, 을사의병, 나철 등 자신회 조직 1907년 1909~1910년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의 강제 퇴위 한일신협약 (정미 7조약) 군대 해산 기유각서 (목적)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함 이준, 이위종, 이..
14. 구국 운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의 전개 동학 농민 운동 1860년대 1870년대 1890년대 1894년 동학 창시(1960) 교세 확장 교조 신원 운동 고부 민란 - 최제우: 제1대 교주→혹세무민 죄로 사형 - 시천주 강조 - 최시형: 제2대 교주 - 교세 확장: 사인여천 강조, 포접제, 동경대전·용담유사 유행 - 삼례 집회(1892) - 서울 복합 상소 - 보은 집회(1893): 정치 운동으로 발전 - (배경) 고부 군수 조병갑의학정(만석보 사건) - (전개) 전봉준 등 사발통문 작성→고부 관아 점령→신임 군수 박원명, 안핵사 이용태 파견 - (결과)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전주 화약 체결 제2차 동학 농민 운동 (성격) 반봉건 (주도) 남접의 전봉준 (배경)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전개) ① 무장 봉기→백산 봉기: 4..
13. 문호 개방과 근대적 개혁의 추진 조선의 문호 개방 조·미 수호 통상 조약(1882.5.) 배경 황준헌(황쭌셴)의 조선책략 유포, 청의 알선 내용 제1관: 거중 조정 / 제4관: 치외 법권 / 제5과: 관세조항(최초) / 제14관: 최혜국 대우(최초) 결과 미국에 보빙사 파견(1883) 의의 서양 국각와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 그 외 열강과의 조약 체결 영국(1883) 높은 관세율과 아편 문제로 조약 비준이 지연, 청의 중재로 체결 독일(1883) 청의 알선 이탈리아(1884) 청의 알선 러시아(1884) 러시아 공사 베베르에 의하여 직접 수교 프랑스(1886) 천주교 포교 문제로 조약 체결 지연, 청의 중재로 체결 개화사상의 형성 18세기 중상학파(북학파) 박지원, 박제가 19세기 통상 개화론자 박규수, 오경석: 해국도지, 영환지략..
12.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적 접근과 조선의 대응 19세기 조선의 국내외 상황 국내 상황 - 삼정의 문란과 세도 정치 - 홍경래의 난, 임술 농민 봉기 - 동학, 서학(천주교) 확산 - 철종이 후사 없이 죽음→고종이 12세로 즉위→고종의 아버지 흥선 대원군이 섭정 국외 상황 - 제국주의: 인종 우월주의+사회 진화론→강대국의 약소국 지배 - 이양선 출몰 - 아편 전쟁(청 vs 영국) → 난징 조약 체결 → 청의 개항 - 미·일 화친 조약+미·일 수호 통상 조약 체결→일본의 개항 흥선 대원군의 대내 정책 흥선 대원군 왕권 강화 정책 - 비변사 혁파→의정부 기능 회복, 삼군부 부활 - 사색 등용 - 경복궁 중건(당백전 발행→물가 상승 초래, 원납전 징수, 백성 강제 동원, 양반 묘지림 벌목) - 대전회통, 육전조례 편찬 민생 안정 정책 - 서원 철폐(47개소..
11. 조선의 문화 유학의 흐름 15세기 훈구파 성리학 외 타 학문 수용 o, 국가 통치 이념으로 주례 중시, 중앙 집권 추구 vs 사림파 성리학 외 타 학문 수용 x, 국가 통치 이념으로 춘추 중시, 향촌 자치 추구 16세기 김장생 호: '사계', '가례집람' 저술 이황 주리론: '이'강조, 이기이원론 / 경향: 이상적, 근본적 / 일본 성리학에 영향 /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예안향약 저술 vs 이이 주기론: '기' 강조, 이통기국론 / 경향: 현실적, 개혁적 / 동호문답, 성학집요, 격몽요결, 해주향약, 서원향약 저술 / 수미법, 십만양병설 주장 17세기 예학 발달+성리학 절대화→사무난적 논쟁+예송 논쟁 18세기 양명학 성리학 비판 / 실천성 강조: '지행합일', '치양치' / 강화 학파(하곡 정제두): 양명학 연구 ..
10. 조선의 경제와 사회 토지의 제도의 변화 고려말 세조 성종 명종 과전법 직전법 관수관급제 직전법 폐지 - 관직 복무 대가로 경기 지방의 토지 지급 - 전·현직 관리에게 수조권 지급 - 원칙상 세습이 불가하나 수신전·휼양전 명목으로 세습 - 지급 토지 부족 현상 발생 - 현직 관리에게만 지급 - 수신전·휼양전 폐지 - 관리들의 수조권 남용→정해진 양보다 많이 거둠 - 지방 관청에서 수확 후 지급 - 수조권 폐지→녹봉만 지급 수취 체제의 변화 조세(전세) 고려 공양왕 답험손실법 조선 태종 답험손실법 조선 세종 공법 연분 9등법, 전분6등법 조선 인조 영정법 풍흉에 관계없이 1결당 4~6두 징수, 부가세 증가: 운송비, 수수료 등 역 군역 - 초기: 가호 기준 선발→정군 및 보인 선발 시 불평등 발생 - 세조 때 보법 시행: 군역..
9. 조선의 정치 신진 사대부의 분화와 조선의 건국 조선 유교정치의 발전 태조 ※ 이성계 - 국호 '조선', 한양 천도 - 조준: 『경제육전』 저술 - 정도전: 성리학적 통치 이념 확립, 재상 중심 정치 주장, 궁권과 사대문 등의 이름을 지음, 『경제문감』 저술, 『불씨잡변』 저술,『조선경국전』 저술, 제1차 왕자의 난 때 죽음 (Tip 경.고 불.조.심하삼) 정종 - 개경 천도 -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태종 ※ 이방원 - 한양 천도 - 왕권 강화 정책(6조 직계제 시행: 의정부 권한 약화, 종친, 외척의 정치 참여 제한, 사병 혁파, 사간원 독립) - 국가 재정 확충(양전 사업 시행, 호패법 시행, 사원전 몰수) - 민생 안정: 신문고 설치 세종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의정부 서사제 시행 - 집현전 설치, 경연 활성..